티스토리 뷰
목차
미국 금값은 고공행진을 이어가고 있는데, 한국 금값은 오히려 떨어지고 있습니다. 도대체 왜 이런 차이가 벌어진 걸까요? 단순한 환율 때문일까요, 아니면 숨겨진 이유가 있을까요?
미국 금값 고공행진…왜?
최근 미국에서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전쟁 여파로 경기 후퇴 우려가 커졌습니다. 이에 따라 주가와 채권 가격, 달러 가치가 모두 하락하는 가운데, 안전자산인 금값은 치솟고 있습니다.
뉴욕상업거래소(NYMEX) 기준 4월 결제 금 선물 가격은 불과 몇 달 사이에 트로이온스당 2935.66달러에서 3361.1달러로 약 14.5% 상승했습니다. 글로벌 금융 불안과 경제 불확실성은 금에 대한 투자 수요를 급증시켰습니다.
그런데 한국 금값은 왜 하락했을까?
한국거래소(KRX) 금시장에서는 상황이 다릅니다. 2월 14일 16만3530원으로 올해 최고치를 찍었던 금값은, 4월 24일 기준 15만3700원까지 하락했습니다. 올해 초에 비해 1.2% 하락한 수준입니다.
원-달러 환율 하락(1.9%)만으로는 이 차이를 설명할 수 없습니다. 진짜 이유는 바로 **"2월에 국내 금값이 국제 시세보다 비정상적으로 폭등했던 것"** 때문입니다.
2월 초 국내 금값 '거품' 현상
2월 중순, 한국거래소 금값은 국제 시세를 크게 웃돌았습니다. 예를 들어 2월 14일 당시, 국내 금값은 뉴욕 금값보다 무려 20.9%나 비쌌습니다. 설 연휴 이후 투기적 매수세가 급격히 몰리면서 생긴 현상이었습니다.
괴리율은 2월 11일 11.9%까지 커졌고, 2월 14일엔 20%를 넘기며 정점을 찍었습니다. 결국 과열된 국내 금시장이 자연스럽게 조정을 거치면서, 현재의 가격 하락이 나타난 것입니다.
최근 국제 금값 하락도 영향
4월 25일 기준, 시카고파생상품거래소(COMEX)에서는 6월 인도분 금 선물이 전 거래일 대비 1.40% 하락한 온스당 3301.70달러에 거래되었습니다. 이는 미중 무역 긴장 완화 기대감과 달러 강세 때문입니다.
달러 가치가 상승하면 금의 상대적 매력이 줄어들어 금값이 하락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최근 중국이 미국산 반도체에 대한 일부 보복 관세를 철회하고, 트럼프 대통령이 협상 타결 가능성을 언급하면서 불확실성이 다소 해소된 것도 금값 하락에 영향을 주었습니다.
결론: 한국 금값 하락, 착시 효과였나?
요약하면, 한국 금값이 오르지 않은 것은 단순한 환율 때문이 아니라, 2월 중 과열됐던 가격 거품이 꺼지면서 조정이 이루어진 결과입니다. 여기에 최근 국제 금값이 달러 강세와 무역 긴장 완화 기대감으로 약세를 보이면서 하방 압력이 더해졌습니다.
앞으로 국내외 경제 불확실성, 달러 가치 변화, 지정학적 리스크 등에 따라 금값은 다시 반등할 수도 있습니다. 금에 투자하는 경우, 국제 금값과 국내 시장의 괴리율을 함께 살피는 신중한 접근이 필요합니다.
달러 강세와 금값, 무슨 관계가 있을까? 완전 정리
달러가 강세를 보이면 금값은 왜 떨어질까요? 반대로 달러가 약세를 보이면 금값은 왜 오를까요? 투자자라면 꼭 알아야 할 '달러 강세와 금값의 관계'를 오늘 완전히 정리해드립니다. 달러와 금
essu.mooawin.com
2025년 금 투자 전망: 오를까, 떨어질까?
2025년 금값, 과연 오를까요 아니면 떨어질까요?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 금리에 대한 전망, 달러 가치 변화까지 복합적인 요인이 작용하고 있는 지금, 금 투자자라면 반드시 주목해야 할 포인트를
iss.mooawin.com